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소년복지론, 이혼 가정 속의 청소년

사회복지학 정리/청소년복지론[완결]

by 수집쟁이 2022. 2. 5. 08:37

본문

반응형

청소년의 위기 중에는 가출의 요소와 함께, 이혼 가정의 요소가 있습니다. 이혼 가정 속의 청소년은 자신이 기댈 언덕이 사라지고 안정감과 보호감을 느끼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사라질 수가 있기에, 여러 가지 지원과 돌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혼 가정 속의 청소년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이혼가정_청소년
이혼 가정 속의 청소년

 

 

이혼 가정 속의 청소년

 

 

이혼가정에 관한 이론적 관점

 

     부모의 이혼은 기본적으로 가족 구조와 가족 과정에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1. 양육 부모의 적응 관점

     양육부모는 이혼으로 인한 심리적 충격과 분노, 상실감, 외로움을 감당하며 사회의 부정적 인식 및 대인관계의 단절로 인해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게 됩니다. 또한 양육 부모는 이혼으로 인한 부모의 권위 구조가 약화된 가족 체계 내에서 부모의 역할과 집안일, 생계를 혼자서 모두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양육 부모는 이혼 후 변화된 역할과 책임에 적응하는데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자녀와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하지 못하고 양육방식에 일관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이혜승, 2004; Amato,1993).


2. 가족 갈등 관점

     이혼 전후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모 사이의 갈등은 부모의 감정적 에너지를 소모시키고 자녀의 정서적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능력을 손상 시킵니다. 부모의 이혼 과정에서 자녀가 부모의 가족 간의 갈등 상황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것은 부모의 헤어짐 자체보다 자녀에게 더욱 심각한 스트레스가 됩니다. 자녀는 이 과정에서 부모의 갈등을 자신의 탓으로 돌리면서 두려움과 혼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반면, 이혼 후 양친 부모 사이에 접촉이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갈등이 감소되면 시간 경과에 따라 자녀의 적응은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홍순혜, 김은영, 2005).


3. 경제적 변화 관점

     이혼가정은 한 부모가 경제 활동과 가계 유지를 모두 담당해야 하므로 경제적 측면에서 스트레스를 접할 수가 있습니다. 특히 직업이나 일정한 수입이 없는 어머니나 아버지가 혼자서 자녀 양육을 책임지게 될 경우 가정 빈곤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적응 유연성 관점

     이혼은 가족 관계와 자녀의 적응에 영향을 주는 가족전이(transition)의 한 단계가 될 수 있습니다. 이혼은 가족의 삶에 심각한 변화와 도전을 주지만 갈등적인 가족관계를 벗어날 수 있는 탈출구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적응유연성 관점에 의하면, 부모의 이혼이라는 역경과 스트레스 상황에도 불구하고 조화로운 가족 과정을 유지하고 자녀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이혼가정 청소년의 당면 문제

 

1. 정서적 문제

     부모의 이혼으로 자녀는 애착 대상이던 부모 한명과 헤어지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상실감을 갖게 됩니다. 특히 함께 살게 된 양육 부모가 배우자에 대해 분노하며 자녀와의 만남을 인정하지 않을 경우, 자녀가 느끼는 상실감과 그리움은 더욱 심각 할 수 있습니다. 웨브(Webb,2011)는 자녀가 양육 부모와 비양육 부모 사이에서 느끼는 이러한 정서적 고통을

‘박탈된 슬픔’이라고 표현하였습니다. 이혼 가정 자녀들은 이러한 정서적 특성으로 인해 우울 불안이나 위축 정도가 높고 자아 존중감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고됩니다(김선아, 2011; 이혜승, 2004; Storksen, Roysmb, Moum & Tambs, 2005). 특히 청소년기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단계이기 때문에,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가족 분리와 경제적 변화, 거주지 이동 등의 환경적 스트레스는 청소년의 우울 정서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행동문제와 학교 부적응

     청소년은 부모의 이혼 과정에서 경험하는 정서적 고통과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해소하지 못할 경우, 개인적 특성에 따라 공격적 성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실제적으로 청소년을 정서적 안정감과 통제력을 잃기 쉽기 때문에 문제 행동이나 비행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김선아, 2011; 주소희, 2008). 더불어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청소년은 일시적으로 학업 부진이나 목적 의식 결여, 학교 친구들로부터의 고립감, 행동 문제 등의 학교 부적응 현상을 보이기도 합니다(이혜승, 2004; Storksen, 2005).


3. 사회적 관계문제

     부모의 이혼은 한쪽 부모와의 분리뿐만 아니라 확대 가족 및 친족과의 관계를 일부 단절시키기도 하기 때문에, 이혼가정 자녀는 사회적 관계망을 상실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의 이혼에 대한 수치심을 느끼는 자녀는 스스로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끼거나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합니다. 특히 이혼 가정 청소년은 일부 성인이나 또래 집단의 편견과 호기심 때문에 스트레스를 경험할 경우, 사회적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Webb,2011).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