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길을 찾아서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인생의 길을 찾아서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983) N
    • 한국사 정리 (27)
    • 명언과 나의 생각 (15)
      • 니체 명언과 나의 생각 (6)
      • 쇼펜하우어 명언과 나의 생각 (3)
      • 키에르케고르의 명언과 나의 생각 (2)
    • 심리학 정리 (73) N
      • 사회심리학 (11) N
      • 상담심리학 (36)
    • 좋은 생각 (56)
    • 좋은성경구절 (125)
    • 데이터통 (187)
      • 대림절 크리스마스 (23)
      • 사순절 종려주일 부활절 (5)
    • 사회복지학 정리 (164)
      • 지역사회복지론 (55)
      • 가족복지론 (80)
      • 청소년복지론[완결] (29)
    • 성경 66권의 구조와 개요 (42)
    • 생물학 정리 (36)
    • 우리말 속담 (10)
    • 사자성어 (2)
    •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 (23)
      • 부임6조(완결) (7)
      • 율기6조(완료) (13)
      • 봉공6조 (3)
    • [완결] 노자의 도덕경 전문 (12)
    • [완결] 명심보감 (11)
    • 교회력 (141)
      • 교회력 매일성경 읽기(B) (119)
      • 교회력 본문주석 (22)
    • 구약성경 주석 (36)
    • 찬양 악보 PPT (17)

검색 레이어

인생의 길을 찾아서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봉공6조

  •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봉공육조 제3조 예제(禮際), 예의로 사귐

    2021.04.19 by 수집쟁이

  •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봉공육조 제2조 수법(守法), 법을 준수함

    2021.04.15 by 수집쟁이

  •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봉공육조 제1조 선화(宣化), 교화를 폄

    2021.04.14 by 수집쟁이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봉공육조 제3조 예제(禮際), 예의로 사귐

애민 정신을 담은 다산 정약용 선생의 목민심서 중의 봉공육조의 내용입니다. 제3조는 대인관계에 대한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봉공육조 제1조 선화(宣化), 교화를 폄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봉공육조 제2조 수법(守法), 법을 준수함 봉공육조 제3조 예제(禮際), 예의로 사귐 禮際者 君子之所愼也 恭近於禮 遠恥辱也 예제자 군자지소신야 공근어례 원치욕야 해석 예의로 교제함은 군자가 신중히 여기는 바이니, 공손함이 예의에 가까우면 치욕을 멀리 할 것이다. 해설 자신이 하관이면 본분을 삼가 지키어 상관을 섬겨야 할 것이다. 나는 문관이요 상대는 무관일지라도 비교해서 괄시해서는 안 되며, 나는 혁혁하고 상대는 한미할지라도 교만을 부려서는 안 되며, 나는 잘났고 그는 어리석다 해도 말해서..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봉공6조 2021. 4. 19. 19:00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봉공육조 제2조 수법(守法), 법을 준수함

法者君命也 不守法 是不遵君命者也 爲人臣者 其敢爲是乎 법자군명야 불수법 시부준군명자야 위인신자 기감위시호 해석 법이란 임금의 명령이다. 법을 지키지 않음은 임금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것이 되는데, 신하로서 감히 그래서야 되겠는가. 해설 책상 위에는 ‘대명률’ 한 권과 ‘대전통편’ 한 권을 놓아두고, 항상 보아서 조례를 알도록 하며, 거기에 따라 법을 지키고, 영을 행하고, 송사를 결단하며, 사무를 처리하되, 무릇 법의 조례에 금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범해서는 안 된다. 비록 고을의 전례가 되어 오래도록 내려오는 것이라 하더라도, 진실로 국법에 뚜렷이 어긋난 것은 범해서는 안 된다. 주석 군명: 임금의 명령 수법: 법을 지킴 대명률: 중국 명 나라의 기본 형법을 적은 책 대전통편: 조선 때의 기본 법전 確然持..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봉공6조 2021. 4. 15. 16:30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봉공육조 제1조 선화(宣化), 교화를 폄

봉공육조 제1조 선화(宣化), 교화를 폄 郡守縣令 本所以承流宣化 今唯監可 謂有是責 非也 군수현령 본소이승류선화 금유감사 위유시책 비야 해석 군수나 현령은 본래 은택을 입히어 교화를 펴는 것인데, 요즈음 감사에게만 이 책임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 해설 한 나라 동중서는 이렇게 말하였다. “요즈음 군수나 현령은 백성의 스승이요 지도자이니, 그들로 하여금 은택을 입히어 교화를 펴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령이 현명하지 못하면 임금의 덕이 선양되지 못하고 은택이 입혀지지 못한다. 오늘날 관리들은 아랫사람을 교훈함이 없고, 임금의 법을 이어받아 쓰지 않고 백성들에게 포학하게 하여 간악한 아전들과 부동하여 이익을 추구한다. 그래서 가난하고 외롭고 약한 백성들은 원통하고 괴로워서 생업을 잃어버리게 되니 심..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봉공6조 2021. 4. 14. 11:56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인생의 길을 찾아서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