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길을 찾아서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인생의 길을 찾아서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984) N
    • 한국사 정리 (27)
    • 명언과 나의 생각 (15)
      • 니체 명언과 나의 생각 (6)
      • 쇼펜하우어 명언과 나의 생각 (3)
      • 키에르케고르의 명언과 나의 생각 (2)
    • 심리학 정리 (74) N
      • 사회심리학 (12) N
      • 상담심리학 (36)
    • 좋은 생각 (56)
    • 좋은성경구절 (125)
    • 데이터통 (187)
      • 대림절 크리스마스 (23)
      • 사순절 종려주일 부활절 (5)
    • 사회복지학 정리 (164)
      • 지역사회복지론 (55)
      • 가족복지론 (80)
      • 청소년복지론[완결] (29)
    • 성경 66권의 구조와 개요 (42)
    • 생물학 정리 (36)
    • 우리말 속담 (10)
    • 사자성어 (2)
    •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 (23)
      • 부임6조(완결) (7)
      • 율기6조(완료) (13)
      • 봉공6조 (3)
    • [완결] 노자의 도덕경 전문 (12)
    • [완결] 명심보감 (11)
    • 교회력 (141)
      • 교회력 매일성경 읽기(B) (119)
      • 교회력 본문주석 (22)
    • 구약성경 주석 (36)
    • 찬양 악보 PPT (17)

검색 레이어

인생의 길을 찾아서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부임6조(완결)

  • 수령의 중요성을 인식한 다산 /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부임6조에 대하여(정리)

    2020.09.24 by 수집쟁이

  • 이튿날 새벽에 개좌하여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6조 집무를 시작함(완결)

    2020.09.20 by 수집쟁이

  • 부임할 때에 날을 받을 것이 없고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5조 부임

    2020.09.19 by 수집쟁이

  • 부임하는 길에서는 정중하고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4조 부임 행차

    2020.09.18 by 수집쟁이

  • 임금에게 하직 인사를 드린다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3조 하직 인사

    2020.09.16 by 수집쟁이

  • 행장을 꾸릴 때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2조 행장을 꾸림

    2020.09.15 by 수집쟁이

  • 목민의 벼슬은 구해서는 안 된다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1조 수령에 임명됨

    2020.09.14 by 수집쟁이

수령의 중요성을 인식한 다산 /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부임6조에 대하여(정리)

‘목민심서’는 조선 정조, 순조 때의 실학자이며 학자인 다산 정약용 선생이 오랜 기간을 두고 심혈을 쏟아 저술한 치민의 지침서이다. 목차 1. 수령의 중요성을 인식한 다산 예나 지금이나 한 고을을 맡아서 직접 백성들을 대하며 행정을 한다는 것은 중앙의 어느 관직보다도 중요하다. 그래서 수령 노릇을 하고자 하는 자에게는 여러 자질이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실무 면에서도 해박한 지식과 경륜이 있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청렴, 봉공, 애민의 정신이다. 다산은 그의 자서에서 이 ‘목민심서’를 자신의 길지 않은 수령생활에서 얻은 경험은 물론 자기 아버지의 경험까지를 바탕으로 하여 엮었다고 술회하고 있으니, 그가 한 나라의 조직 가운데 수령의 위치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통감한 것이며, 또 당시의 ..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부임6조(완결) 2020. 9. 24. 16:29

이튿날 새벽에 개좌하여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6조 집무를 시작함(완결)

예의와 겸손함, 그리고 소박함 가운데 수령이라는 벼슬을 받고 부임한 수령은, 집무를 시작하게 됩니다. 본격적으로 수령으로서의 직무를 감당하기 위해 지켜야 할 예의와 중점에 두어야만 할 점들에게 대해 정약용 선생은 깊은 애정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목차 목민심서 부임 6조 제6조 집무를 시작함 厥明開坐 乃莅官事 음역 궐명개좌 내위관사 해석 이튿날 새벽에 개좌하여 정사를 본다. 해설 상사에 올리는 보고 문서 가운데 전례에 따라야 할 것은 곧바로 서명 날인하고, 따져 보아야 할 것은 이속이 만든 초안을 가져다가 가다듬어 문안을 만들고 다시 쓰도록 한다. 민간에 내리는 명령은 함부로 결재해서는 안 된다. 반드시 법전을 참고하여 하나하나 검사하고, 그 안에 털끝만큼도 간사한 계책이나 허위가 들어 있지 않음을..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부임6조(완결) 2020. 9. 20. 16:07

부임할 때에 날을 받을 것이 없고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5조 부임

수령으로서 행차를 한 후, 부임한 마을의 관아에서 제일 먼저 수령으로서 무엇을 해야 할 것이가에 대한 정약용 선생의 가르침입니다.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하나씩 이행해 나가는 것이 수령으로서의 신뢰를 쌓게 하는 지름길이라 생각이 듭니다. 부임한 이후 수령이 해야 하는 일의 순서가 무엇일까요? 목차 ▧ 목민심서 부임6조 제5조 부임 上官 不須擇日 雨則侍晴 可也 음역 상관 불수택일 우즉대청 가야 해석 부임할 때에 날을 받을 것이 없고, 비가 오면 개기를 기다리는 것이 좋다. 해설 날짜를 가리지 않는 사람이 없지만, 봉고파직을 당하는 사람도 있고, 폄하되어 파직되는 사람도 있고, 사고를 만나 떠나는 사람도 있다. 앞사람들의 징험이 없었는데 무엇 때문에 그것을 따르겠는가? 대개 보면, 새 관원이 가까운 곳에 당..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부임6조(완결) 2020. 9. 19. 13:44

부임하는 길에서는 정중하고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4조 부임 행차

백성을 염려하며 수령이 부임할 때 백성들이 져야 할 짐이 많지 않도록, 부임 행차를 최소화할 것을 교훈하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교훈이 담긴 부분입니다. 백성을 위하는 수령은, 자연스럽게 백성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을 것이며 그가 펼치는 고을 행정 역시 순탄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입니다. 제4조 부임 행차 부분은, 결국 백성을 위하고 수령 자신을 위하는 귀한 교훈임이 틀림 없습니다. 목차 ▧ 목민심서 부임6조 제4조 부임 행차 啓行在路 亦唯莊和簡黙 似不能言者 음역 계행재로 역유장화간묵 사불능언자 해석 부임하는 길에서는 정중하고 화평하며 간결하고 과묵하기를 마치 말을 못 하는 사람처럼 해야 한다. 해설 행차는 반드시 일찍 출발하고 저녁에는 반드시 일찍 쉬도록 해야 한다. 말에 올라서 동이 트기 시작하고, 말에..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부임6조(완결) 2020. 9. 18. 07:00

임금에게 하직 인사를 드린다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3조 하직 인사

고을 수령으로 임명을 받고 행장을 꾸린 후, 임금에게 하직 인사를 하고 부임지를 향해 출발하기 전까지의 수령의 할 일에 대해 교훈하고 있습니다. 감사의 말과 함께 다정한 인사를 동료 대신들에게 전하고, 나라의 녹을 먹는 관리로서 그 녹의 많고 적음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말 것을 엄히 가르치고 있습니다. 목차 ▧ 목민심서 부임6조 제3조 하직 인사 旣署兩司 乃辭朝也 음역 기서양사 내사조야 해석 양사의 서경이 끝나고 임금에게 하직 인사를 드린다. 해설 조선시대의 관원 임명 절차는 이렇다. 먼저 문관은 이조에서, 무관은 병조에서 세 명의 후보자를 추천하면 임금이 그 세 사람 가운데서 한 사람에게 낙점한다. 그런 다음,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요즈음으로 말하면 신원조회와 같은 서경을 거침으로써 임명 절차가 끝나게 된..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부임6조(완결) 2020. 9. 16. 06:43

행장을 꾸릴 때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2조 행장을 꾸림

정약용은 목민심서 부임6조의 제2조를 통하여, 부임하는 벼슬아치가 행장을 꾸릴 때, 의복과 말은 모두 옛것을 그대로 쓰고 새로 마련해서는 안되며 동행도 많이 데리고 가지 말것을 강조합니다. 화려한 부임은 곧 백성들의 부담을 가져오기 때문입니다. 다만 관련 책을 반드시 챙겨서 목민에 더욱 집중할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목차 목민심서 부임6조 제2조 행장을 꾸림 治裝其衣服鞍馬 竝因其舊 不可新也 음역 치장기의복안마 병인기구 불가신야 해석 행장을 꾸릴 때, 의복과 말은 모두 헌것을 그대로 쓰고 새로 마련해서는 안 된다. 해설 떠날 행장을 너무 사치스럽게 해서는 안 되고, 있던 것을 그대로 쓰는 것이 좋다. 백성을 사랑하는 근본은 비용을 절약하는 데 있고, 비용을 절약하는 근본은 검소한 데에 있다. 검소해야만 ..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부임6조(완결) 2020. 9. 15. 18:11

목민의 벼슬은 구해서는 안 된다 / 정약용의 목민심서 부임6조 제1조 수령에 임명됨

잭벌레로 유명한 정약용 선생의 '목민심서'는, 한 고을의 수령이 백성에 대하여 어떤 마음 가짐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교훈서입니다. 그 중에 제1조는 이제 막 수령에 임명된 자가 부임할 때 어떤 자세로 부임해야 하는지, 부임 시 허례허식보다는 백성의 형편을 헤아리며 부임할 것 등에 교훈하고 있습니다. 백성을 향한 정약용 선생의 깊은 사람과 애정을 엿볼 수 있는 내용입니다. 목차 목민심서 부임6조 제1조 수령에 임명됨 他官可求 牧民之官 不可求也니라 음역 타관가구 목민지관 불가구야니라 해석 다른 벼슬은 다 구해도, 목민의 벼슬은 구해서는 안 된다. 해설 윗사람을 섬기는 자를 백성이라 하고, 백성을 다스리는 자를 사라 한다. 사란 벼슬살이 하는 사람이니, 벼슬살이 하는 자는 모두 백성을 다스리는 자들이다. 그..

정약용의 목민심서 전문/부임6조(완결) 2020. 9. 14. 06:49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인생의 길을 찾아서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