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각각 그 근원으로 돌아간다 /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전문(全文) - 3 (16번 - 20번)

[완결] 노자의 도덕경 전문

by 수집쟁이 2020. 8. 5. 07:47

본문

반응형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전노자의 도덕경(道德經) 전문(全文) - 3 (16번 - 20번)문(全文) - 3

 

 

노자의 도덕경(道德經) 전문(全文) - 3 (16번 - 20번)

 

 

十六. 

致虛極, 守靜篤, 萬物竝作, 吾以觀復, 夫物芸芸, 各復歸其根, 歸根曰靜,  是謂復命, 復命曰常, 知常曰明, 不知常,  妄作凶, 知常容, 容乃公,  公乃王,  王乃天, 天乃道, 道乃久, 沒身不殆.
  

     허를 이루기를 지극히 하고, 정을 지키기를 두터이  하면 만물이 함께 일어나는데, 나는 그것이 도에 복귀함을 안다. 대저 만물은 무성하지만 각각 그 근원에 돌아간다. 근원에 돌아가는 것을 정이라고 하고, 이것을 명에 돌아간다고 한다. 명에 돌아가는 것을 상이라고 하고, 상을 아는 것을 명이라  한다. 상을 알지 못하면 망령되어  화를 자초한다. 상을 알면 관용하고, 관용하면 곧 공평해진다. 공평하면 왕이고, 왕이 되면 곧 하늘이고,  하늘이 되면 곧 도이다. 도가 되면 곧 영원하니, 몸이 끝날 때까지도 위태롭지 않다.
 

    

十七. 

太上下知有之, 其次親而譽之,  其次畏之, 其次侮之,  信不足焉, 有不信焉, 悠兮其貴言, 功成事遂, 百姓皆謂我自然.
     

     태상은 이래서 이것이 있음을 알 뿐이고, 그 다음은 친하여 이를 칭챁하고, 그 다음은 이를 두려워하고, 그 다음은  이를 업신여긴다. 그러므로 믿음이  부족하면 신뢰를 받지 못함이 있다. 유연하게 그 말을 잊으며,  공을 이루고 일을 성취하니, 백성이  모두 나를 자연이라 한다.

 

      
十八. 

大道廢有仁義, 慧智出有大僞, 六親不和有孝慈, 國家昏亂有忠臣.
     

     대도가 없어지면 인의가 있고, 지혜가 나오니 대위가  있고, 가족이 화하지 않아 효와 사랑이 있고, 국가가 혼란하여 충신이 있다.
     

 

 


十九. 

絶聖棄智, 民利百倍, 絶仁棄義, 民復孝慈, 絶巧棄利, 盜賊無有,  此三者以爲文不足, 故令有所屬, 見素抱樸, 少私寡欲.


     
     성을 끊고 지혜를 버리면 이익이 백배나 되고, 인을 끊고  의를 버리면 백성이 효도와 사랑으로 돌아가고, 교를 끊고 이를 버리면 도둑이 없다. 이 셋으로는 문장이 부족하다고 본다. 그러므로 속하는 곳이 있게  해야 하는데, 소를 나타내고 박을  지니며, 사심과 욕심을 적게 하는 것이다.

 


     
二十. 

絶學無憂, 唯之與阿, 相去幾何, 善之與惡, 相去若何, 人之所畏,  不可不畏, 荒兮其未央哉, 衆人熙熙, 如享太牢, 如春登臺, 我獨泊兮其未兆, 如孀兒 之未孩,   兮若無所歸, 衆人皆有餘,  而我獨若遺, 我愚人之心也哉, 沌沌兮, 俗人昭昭, 我獨昏昏, 俗人察察, 我獨悶悶, 澹兮其若海, 료兮若無止, 衆人皆有以, 而我獨頑似鄙, 我獨異於人, 而貴食母.


     
     학문을 끊으면 근심이 없다. 유와 아가 서로 떨어짐이 얼마이며, 선과 악이 서로 떨어짐이 얼마이뇨. 남들이 두려워하는 바는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으니 황막하여 아직 다하지 못하였도다.
     중인은 희희하여 큰 잔치상을 받은  것 같고, 봄철에 누대에  오르는 것 같거늘, 나만 홀로 고요하여 아직 움직일 기척조차 없어 어린아이가 아직 웃지  못하는 것 같고, 내래하여 돌아갈 곳이 없는 것 같다. 중인은 모두 여유가 있는데, 나 홀로 버려진 것 같다. 
   나는 우인의 마음인가, 돈돈하도다.
   속인은 영특하지만, 나 홀로 우매하도다. 속인은 찰찰하지만,  나 홀로 민민하도다. 넘실거려 바다와 같고, 휙휙 멎지  않는 것 같다. 중인은 모두  쓸 데가 있는데 나만 홀로 어리석어 촌뜨기 같다. 나 홀로 남과 달라서 어머니에게 길러짐을 귀하게 여긴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