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삼위일체(Trinity)의 하나님, 거룩한 삼위일체 이해하기

데이터통

by 수집쟁이 2023. 4. 2. 20:26

본문

반응형

삼위일체의 하나님은 쉽게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입니다. 왜냐하면, 인간의 생각과 개념을 넘어선 거룩한 하나님의 본성이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쉽게 설명하고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성경을 통하여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성에 대해 일부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삼위일체(Trinity)의 하나님, 거룩한 삼위일체 이해하기
삼위일체의 하나님

 

 

삼위일체(Trinity)의 하나님, 거룩한 삼위일체 이해하기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성도들은 가장 먼저 삼위일체에 대해 듣고 배웁니다. "삼위일체"(Trinity)는 한 분이신 하나님이 성부, 성자, 성령이라는 세 인격으로 존재하신다는 믿음입니다. 사실, 삼위일체론은 수세기 동안 논쟁과 토론이 이어져 온 개념입니다. 왜냐하면, 인간의 언어와 이해의 영역으로는 삼위일체에 대해 설명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조직신학자들마다 혹은 교단마다 삼위일체에 대한 해석이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삼위일체의 핵심


삼위일체에 대한 개념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본성과 하나님의 성품의 본질이 어떠하신가에 대해 가르쳐 줍니다. 삼위일체의 핵심은, 하나님은 단수이면서 동시에 복수이고, 다양성 안에 통일성이 있으며, 하나님의 본질이 우리가 이해하기에는 매우 복잡하고 신비롭습니다. 그러므로 삼위일체에 대해 진정으로 이해하기 위해 말씀을 연구하고 논쟁을 벌이는 것은, 하나님의 위엄과 능력 그리고 그분의 신비로움에 대해 감사하고 하나님의 성품을 닮아가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 같습니다.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일체

 

첫째, 성부 하나님

삼위일체는 종종 삼각형과 원으로 동시에 묘사됩니다. 각 모서리는 삼위 중 한 위격을 나타냅니다. 삼각형의 맨 위에는 만물의 창조자이자 모든 생명의 근원이신 성부가 계십니다. 성부는 삼위일체의 첫 번째 위격이시며 종종 "모든 피조물의 아버지"라고도 성경은 표현합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하심을 깨닫는 것은 성부 하나님을 통해서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구원을 받는 것도 성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베풀어 주시는 은혜를 통해서 가능합니다.

 

둘째, 성자 예수님

삼위일체의 두 번째 위격은, 예수 그리스도로도 알려진 하나님의 아들이십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육신이 되신 하나님의 본체시이며 동시에 하나님의 말씀이며 온전한 하나님이시자 동시에 온전한 인간이신 분이십니다. 예수님은 이 땅에 완전한 인간으로 오셨고, 예수님은 삶과 죽음, 부활을 통해 복음을 전해 주셨습니다. 또, 우리를 위해 십자가 위에서 죽으셨고, 그 죽음을 통하여 우리를 하나님과 화목하게 하셨습니다. 성자 예수님을 통하여 우리는 하나님의 자비로우심과 무한한 용서를 알게 되고, 예수님의 희생을 통해 영생을 얻게 되었습니다.

 

셋째, 성령 하나님

삼위일체의 세 번째 위격은 흔히 "보혜사" 또는 "진리의 영"이라고 불리는 성령 하나님이십니다. 성령 하나님은 세상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임재의 증거가 되며, 성도들이 믿음을 지키고 봉사의 삶을 살도록 감동을 주고 힘을 실어주는 역할을 하시는 삼위일체의 한 위격입니다. 성령 하나님을 통해 우리는 지혜, 지식, 믿음과 같은 영적 은사를 받게 되며, 성령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통해 우리 삶에서 하나님의 뜻을 분별할 수가 있습니다.

 

 

현실에서 만나는 삼위일체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 삼위일체의 하나님은 단순한 이론적 개념을 넘어서서 현실 속에서 살아 계신 하나님의 성품이기도 합니다. 삼위일체는 우리가 기도하고 예배하며 삶을 살아가는 방식을 형성하는 믿음의 시작입니다. 우리는 기도할 때나 성례식에서 성부, 성자, 성령의 이름으로 기도하거나 세례를 베풀기도 합니다. 또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성품의 핵심인 사랑, 자비, 정의를 삶에서 실천하고자 노력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삼위일체는 전 세계의 그리스도인들에게 계속해서 영감과 도전을 주는 개념입니다. 삼위일체는 하나님의 본성의 신비함과 거룩함을 말하며, 다양성 속에서 존재하는 일치에 대한 심오한 의미가 있음을 우리에게 가르쳐 줍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