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소년복지론, 이혼가정 청소년의 고충들

사회복지학 정리/청소년복지론[완결]

by 수집쟁이 2022. 2. 6. 05:40

본문

반응형

청소년은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양부모 가정 속에서 여러 돌발적인 행동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혼 가정 속의 청소년은 양부모 가정보다 더 큰 스트레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탈행위의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 학계의 결론이기도 합니다. 이혼가정 청소년의 고충들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이혼가정_청소년_고충
이혼가정 청소년의 고충들

 

 

이혼 가정 청소년들의 고충들

 

 

이혼가정 청소년의 적응 관련 요인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모든 청소년들이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청소년들은 부모의 이혼과 관련된 스트레스 상황을 적절하게 극복하기도 합니다. 이혼가정 청소년의 적응은 청소년 개인의 특성과 이혼 전후 과정에서의 가족 경험 및 지지체계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

 

1. 개인요인

     청소년의 연령과 발달단계, 스트레스 대처경험과 적응능력, 또래관계, 과거 상실의 경험, 개인의 전반적인 기능, 병력등이 포함됩니다. 부모의 이혼이라는 스트레스를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며 대처하느냐에 따라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에 차이가 보입니다. 더불어 청소년이 자아효능감이 높고, 인지능력이 높으며, 스스로를 잘 인식할수록 부모의 이혼 상황에 보다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Hetherington & Stanley- Hagan, 1999).


2. 가족요인

     이혼가정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요인으로는 양육부모의 적응과 양육태도, 양육부모와의 관계, 경제적 변화 등입니다. 일반적으로 양육부모의 정서적 안정이 양육태도를 결정하고, 이러한 양육태도가 자녀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기 마련입니다. 더불어 청소년은 비양육부모와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수록 이혼 후의 스트레스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합니다.


3. 지지체계 요인

     이혼가정 자녀들이 확대가족을 통해 정서적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학교 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개입 프로그램이나 전문가가 있다면 유용한 지지자원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주변 환경체계의 부정적 태도와 편견은 청소년에게 이혼가정 자녀라는 수치심과 열등의식을 갖게 하여 또래관계와 대인관계를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혼가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개선되어야 합니다.

 


이혼가정 청소년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심리적 과업(Wllerstein & Blakeslee, 1989)

 

     청소년 자녀는 부모의 이혼을 현실로 인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청소년 자녀는 가족갈등과 심리적 고통에서 분리되어 자신의 연령과 발달단계에 맞는 일상생활을 다시 시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 청소년 자녀는 상실감과 분노, 자기 비난을 해소해야 합니다. 자녀는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가족해체 상황에 영구적이라는 것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자녀가 앞으로 인간관계에 대해 현실적인 희망을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이혼가정 청소년을 위한 개입 프로그램 요소(김경집, 2005; 주소희, 2002)

 

1. 가족구조 변화 다루기

     이혼 후 가족에게 일어난 긴장과 불편함을 표현하고 하고, 이혼이 부모의 감정과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2. 부모와 부모 비난 감정 다루기

     부모의 이혼에 대한 분노와 비난의 감정을 표현하게 하고, 억압된 감정을 확인하고 표현하게 합니다. 또한 그러한 감정들의 원인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이후 분노와 정서적 고통에 대처하는 방법을 배우게 합니다.

 

3. 이혼 개념 이해와 죄책감 다루기

     부모의 이혼 원인을 현실적으로 이해하고, 이혼에 대한 잘못된 개념을 명료화합니다. 또한 부모의 이혼 원인이 자신 때문이 아님을 인식하고 죄책감을 극복하게 합니다.


4. 이혼의 지속성과 변화된 억압 다루기

     부모의 이혼 지속성에 대해서 이해하고, 부모의 문제로부터 분리되어 정서적 독립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합니다. 또한 변화된 가족체계 내에서의 역할과 가사 분담, 경제적 변화와 관련된 어려움을 확인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5. 문제 해결방법 다루기

     부모의 이혼 후 친구관계나 학교 적응의 어려움을 확인하고, 현실적인 해결방법을 배웁니다. 또한 청소년의 지속적인 적응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자아효능감 개발, 스트레스 대처 능력 증진, 사회적 지지체계 활용을 다루고, 긍정적인 미래를 계획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