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생물학 개론 - 미토콘드리아

생물학 정리

by 수집쟁이 2022. 1. 23. 13:57

본문

반응형

미토콘드리아는 엽록체와 더불어 중요한 세포소기관입니다. 특히 미토콘드리아는 산소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에 산소를 생산하는 엽록체와는 반대의 작용을 하는 요소입니다. 두 요소들은 정반대의 역할을 하지만, 반면에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생물학개론_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

 

 

미토콘드리아의 정의

 

     미토콘드리아는 거의 모든 진핵세포에서 발견되는 복잡한 ATP 섕성 세포소기관입니다. 엽록체처럼 미토콘드리아는 (1) 이중막을 갖고 있고, (2) 자신의 환상 DNA를 가지며, (3) 자신의 리보솜을 가져 몇몇 단백질을 합성하고, (4) 단지 기존의 미토콘드리아에서만 생겨납니다(DNA 복제와 세포소기관의 분열을 통해 가능). 어느 정도는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가 정확히 반대의 작용을 행합니다. 간단히 말해, 엽록체는 탄소화합물과 산소를 생성하기 위해 에너지와 원료 물질을 사용하는 반면, 미토콘드리아는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탄소화합물과 산소를 사용합니다.

 

세포내공생자

     우리는 중요한 견해를 소개하기 위해 이러한 홍미있는 유사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많은 생물학자들은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 모두가 한때는 독립적이었던 원핵세포의 후손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포들이 다른 고대 원핵세포 계통에 의해 포획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들이 세포내공생자(endosynibiont)로 살아 남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런 견해는 연속적 세포내공생설(serial endosymbiosis hypothesis)이라는 것으로 구체화됩니다. 이 가설이 주장하는 것은 진핵세포의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소기관이 바로 그러한 침입을 통해 생겨났다는 것입니다. 비록 연속적 세포내 공생설에 대한 증거는 환상적이고 설득력은 있지만, 그것을 모두가 확신하지는 않습니다. 자생설(autogenous hypothesis)은 매우 다른 방식으로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소기관의 기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의 모양

     미토콘드리아는 특히 횡단면에 있어서 엽록쳬에 비해 상당히 작습니다. 엽록체는 부분적으로 다소 구형이지만 미토콘드리아는 대개 길고 가느다란 형태입니다.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미토콘드리아는 대개 난형 구조로 나타나는데, 미토콘드리아 이중막의 안쪽은 부분적으로는 내부 공간을 가로질러 신장된 기이한 주름이 있습니다.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은 크리스타(chstae)로 알려진 주름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내막 안의 액쳬로 가득 찬 미로는 내부구획(inner compartment) 혹은 기질(matnx)로 불리며, 두 막 사이의 공간은 외부구획(outer compartment)으로 불립니다. 내막의 주름은 그것의 표면적을 크게 넓힙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섕화학적 작용이 크리스타 자체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그것은 많은 다양한 기능의 단백질과 또 다른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함과는 거리가 멀다 할 수 있습니다. 특별한 전자현미경 기술은 조그만 선반 모양의 크리스타 표면에 엽록체에서 발견되는 것과 아주 유사한 작고, 둥근 구조체에 의해 싸여 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구형의 입자와 내막에 잠겨진 꼬리는 FoFi 복합체로 표시됩니다. 구형의 F1 소단위는 ATP 합성효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엽록체의 CF1 복합체처럼 ATP 합성효소는 ATP 합성을 담당합니다.

 

미토콘드리아의 수

     모든 진핵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가 발견되지만, 어떤 세포에서는 다른 세포보다 많습니다. 그 수는 세포의 호홉 활동에 비례하여 변하는데, 즉 그 세포가 산소를 사용하는 속도에 비례합니다. 이것은 미토콘드리아가 산소대사 혹은 산화 호홉을 전문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열심히 활동하는 하나의 간세포는 1000개나 되는 많은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기도 하지만, 지방 저장 세포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예상할 수 있듯이 미토콘드리아는 근육세포에 매우 풍부합니다.

 

 

참고할 글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