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의 한 분야로서 청소년복지론은, 청소년의 성장에 대한 관심으로 출발하여 청소년의 복지에 대한 연구를 이어가는 학문입니다. 복지를 논하기에 앞서, 청소년에 대한 정의를 통하여 청소년기에 대한 이해를 출발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청소년에 대한 정의와 발달과업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청소년을 의미하는 ‘Adolescence’은 ‘성인기로 성장하다’라는 의미인 ‘Adolescere’로부터 유래한 라틴어입니다. 모든 사회에서 청소년기는 미성숙한 아동기에서 성숙한 성인기로 이동하는 성장의 과정에 있는 시기로 이해가 됩니다. 청소년 기본법에서는 청소년의 연령을 ‘9-24세’ 이하로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 또한 청소년 보호법에서는 청소년을 ‘19세’ 미만의 자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청소년기의 시작은 사춘기의 시작이며 생식능력을 갖춤으로써 청소년기가 끝이 납니다.
청소년기의 시작은 부모로부터의 애착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며 독립된 정체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청소년기가 끝이 납니다.
청소년기의 시작은 향상된 사고 능력이 시작되면서부터이며, 향상된 사고 능력을 통합하면서 청소년기가 끝이 납니다.
부모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또래집단으로의 관심이 이동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며, 또래와의 친밀성을 위한 능력이 개발되면서 청소년기가 끝이 납니다.
성인의 일과 가족 및 시민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기 위한 훈련을 시작하면서 청소년기가 시작되며, 성인으로서의 완전한 지위와 특권을 획득하면서 청소년기가 끝이 납니다.
청소년기는 충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시작합니다. 그리고 공식적인 교육을 마치면서 청소년기를 마칩니다.
청소년의 지위를 획득하면서 청소년기가 시작되며, 성인 지위를 획득하면서부터 청소년기가 끝이 납니다.
청소년으로 인정하는 나이에 이르면서 청소년기가 시작되며, 성인으로 인정하는 나이에 이름으로써 청소년기가 끝이 납니다.
통과의례를 위한 훈련 기간에 들어가면서부터 청소년기가 시작되며, 통과의례를 마침으로써 청소년기를 마치게 됩니다.
발달과업은 개인의 생애 중 어떤 일정한 시기나 혹은 그 가까이에서 나타나는 과업으로써 그 과업을 훌륭하게 성취하면 행복을 누릴 수 있고 후일에 겪게 될 다른 과업을 잘 달성할 수 있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각각의 연령대에 해야만 하고 이루어야만 하는 과업들이 있다는 주장입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