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소년복지론,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지원정책

사회복지학 정리/청소년복지론[완결]

by 수집쟁이 2022. 2. 8. 09:46

본문

반응형

자아정체성에 있어서 혼란함을 겪을 가능성이 높은 다문화 청소년들은 국가적으로, 사회적으로 다양한 지원정책을 필요로 합니다. 우리나라의 여성가족부와 보건복지부에서 직접적으로 다문화 가족의 청소년들을 돌보고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문화청소년_지원정책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지원정책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지원정책

 

 

다문화 청소년 지원정책

 

     2010년 전에는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 지원사업은 여성가족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의 개별 부처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었습니다. 그러나 2010년부터는 국가에서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정부 각 부처별로 각 사업을 분배하여 중복성 없이 지원할 수 있도록 조정하고 있습니다.


1. 여성가족부의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정책

     여성가족부에서(2010-2012) 발표한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에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정책의 목표는 ‘다문화가족 자녀의 건강한 성장환경 조성’입니다. 이를 위한 정책과제는 ①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지원 강화 ② 다문화가족 유아등의 언어발달 지원사업 확대 ③ 다문화가족 학부모의 자녀교육 역량강화 ④ 학교 부적응 자녀 지원을 위한 인프라 확충입니다.


2. 보건복지부(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강화 대책 : 자녀 교육기

정책과제 세부 추진과제
아동 언어학습
정서발달지원
취학전 영유아 기본언어·학습지원 능력
방과후 인프라(지역아동센터)를 활용한 학습·성장 지원
청소년 수련시설 확대로 다문화아동 방과 후 활동 역량 개발 활성화
아동청소년
역량개발지원
아동·청소년 이중 언어 역량개발 추진
청소년 글로벌 역량강화 지원
아동·청소년 사회·문화 역량 강화 지원
아동·청소년 역량 개발 지원 전문기관 육성
빈곤위기 아동
정서지원
빈곤 다문화 아동·청소년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
다문화 아동·청소년 상담지원 강화
위기 다문화 아동·청소년 지원을 위한 인프라 확충
부모의 자녀교육
역량강화
부모의 학교상담 시 통역요원 지원
부모의 자녀교육 능력 강화 프로그램 활용

 


다문화 청소년 지원의 개선방안

 

1.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인식전환의 필요

     다문화청소년다문화 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방향을 적절히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현재 우리 사회가 다문화가족과 다문화 청소년에 대해 갖고 있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수정해야 합니다. 즉 다문화가정 자녀를 결핍된 존재로 보는 시각을 버리고, 다문화 청소년들이 ‘다문화가정’이라는 배경으로 인해 성취 기회와 결과에서 사회적 차별을 받지 않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2. 다문화청소년 역량강화를 위한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

     다문화청소년이다문화 청소년이 단순히 이중문화에서 성장한다는 점만을 부각하여 ‘글로벌 인재 육성’이라는 용어를 쉽게 적용하지 말고 다문화 청소년이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심리사회적 영역에서 어떠한 역량이 강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다문화 청소년을 일반가정 청소년과 분리하여 다르게 실시하는 지원사업보다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별 없이 참여할 수 있는 통합 프로그램 지원과 인프라 개발이 확대되어야

합니다(김지혜, 정익중,2009; 양계민 외, 2011).


3. 다문화청소년의 욕구와 특성에 기반을 둔 지원사업

     현재 다문화가정 자녀 대상의 지원사업 중 많은 영역이 초등학생 연령층에 집중되어 있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위한 지원사업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청소년기 동안 발달적 위기를 극복하고 자아탐색과 진로문제와 관련된 준비와 선택을 지원할 수 있는 개입프로그램의 개발이 확대되어야 합니다.


4. 지역사회 기존 서비스 자원의 다문화 역량 개발

     다문화주의의 관점에서 통합적인 지원을 하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족 및 청소년에게만 중점을 두는 서비스가 아니라 모든 지역사회의 서비스 자원에 다문화적 역량을 키우는 것이 우선되어야 합니다(이봉주, 2010).


5. 다문화청소년의 국가정체성과 이중문화환경의 긍정적 유치

     다문화 가정 자녀에게 단순히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교육과 같은 언어 발달지원만을 강조하기보다는 다문화 청소년들이 바람직한 국가정체성을 형성하고 이중문화환경을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