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행동모델이란, 지역 사회 속에서 소외된 사람들도 공평하게 대우 받도록 하기 위하여, 모든 의사 결정 과정에 그들을 계속해서 참여시키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에서도 사회복지사는 필수적이며, 사회복지사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사회적 약자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의 구체적 역할을 정리하였습니다.
사회복지사는, 서비스 수혜자 입장보다 제공자인 기관의 입장에서 일하는 경향을 비판하고, 불우계층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그들 편에 서서 활동 전개하고 주민이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그러나 사회복지사는 간접적 개입, 중립적 입장을 반드시 지켜야만 합니다.
사회복지사는 중개자의 역할도 하게 되는데, 지역주민이 필요로 하는 자원이 어디에 있다는 것을 가르쳐 줌으로써 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때, 사회복지사는 직접적 개입, 기능주의적 입장, 집단적인 중개(collective brokerage)의 차원으로 확대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필요한 정보를 끌어내고 지역주민들의 입장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지도력과 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역할을 위해서 사회복지사는 정보를 수집하고 주민 입장의 정당성을 주장합니다. 사회복지사는 그의 전문적 입장을 오로지 클라이언트의 이익을 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사회복지사는 갈등적인 상황에서 중립적이거나 수동적인 자세를 거부하는 행동가의 역할을 수행하며 클라이언트의 행동을 조직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로스만은 미국의 동부와 서부 해안지역에 인접해 있는 도시에서 실시되고 있는 20개의 ‘사회행동지향적인 사업’에 관해 4개월 간에 걸친 탐색조사를 실시하고, 사회사업가의 역할에 대한 흥미 있는 결과를 보고하였습니다.
그 외에도, 기술의 과업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지닌 과업에 대한 결과도 보고하였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