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청소년복지론, 다문화 청소년의 개념과 특징

사회복지학 정리/청소년복지론[완결]

by 수집쟁이 2022. 2. 7. 02:19

본문

반응형

현재 우리나라는 국제결혼 커플들이 매우 많아지고 있는 형편입니다. 그래서 다문화 청소년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그들에 대한 대책과 함께 지원이 매우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래서 다문화 청소년의 개념과 범위 그리고 다문화주의의 특징 등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다문화_청소년
다문화 청소년의 개념과 특징

 

 

다문화 청소년의 개념과 특징

 

 

다문화 청소년의 개념과 범위

 

1. 다문화청소년의 정의

     과거 우리나라는 국제결혼처럼 한국인이 다른 국적을 가진 사람과 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정을 국제결혼가정 혹은 혼혈 가정으로 불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가 갖고 있는 상징적 차별성을 시정하기 위한 사회적 합의가 진행되면서 그 대안으로 다문화가정, 다문화자녀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국제결혼 가정이나 외국인 근로자 가정의 청소년 자녀를 의미합니다.


2. 다문화 청소년의 범위(정하성, 우룡, 2007)

다문화가정 유형 다문화청소년 범위
국제결혼가정 한국인 아버지와 외국인 모 사이에서 태어난 청소년
한국인 어머니와 외국인 부 사이에서 태어난 청소년
한국인 아버지와 결혼한 어머니가 본국에서 입양형태로 입국한 청소년
외국인근로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서 결혼하여 태어난 청소년
본국에서 결혼하여 형성된 가족이 한국에 이주한 가정의 청소년

 

 

다문화가족 통합에 관한 이론적 관점

 

     다문화청소년은 다문화가족의 구성원입니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을 이해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한 사회가 다문화가족, 즉 이주민 통합을 위해 기본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관점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1. 동화주의 모델

     이주민들이 출신국의 문화와 언어를 완전히 포기하고 주류사회 성원들과 차이가 없이 동질적으로 되는 것을 목표를 합니다. 따라서 동화주의 모델을 따르는 사회에서는 이주민들이 출신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을 포기하고 주류사회 성원들과 차이가 없이 동질적으로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동화주의 모델을 따르는 사회에서는 이주민들이 출신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을 포기하고 주류문화에 대한 동화를 통해 국가정체성을 확립하도록 지원하는데 초점을 둡니다.


2. 다문화주의 모델

     이주민들이 출신국의 문화와 특성을 간직하면서 전체 사회와 조화롭게 공존하는데 목적을 두며, 민족적·문화적 다양성 자체를 인정하고 존중합니다. 따라서 다문화주의 모델은 이주민들이 출신문화를 포기하도록 요구하지 않으며, 오히려 민족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주류사회에서의 차별과 배제를 받지 않도록 지원합니다(한승준, 2008).


3. 다문화주의의 3가지 특성(Troper, 1997)

  • 민족적․문화적으로 다원화된 인구학적 현상
  • 사회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사회적 이념
  • 인종, 민족, 국적에 의해 차별과 배제를 받지 않고 평등한 기회에 대한 접근을 보장하는 정부의 정책과 프로그램.

 

4. 베리(Berry, 1977)가 본 문화적·민족적 배경이 다른 개인의 문화적 적응유형

     통합 : 고유문화에 관한 정체성과 자부심을 유지한 동시에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유형입니다. 따라서 이유형의 이주민은 고유문화와 새로운 주류문화에 대한 성찰을 통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균형 있게 인지하고 상호존중과 수용이 가능합니다.

     동화 : 고유문화를 거부한 채 새로운 다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 들리는 유형입니다. 자신이 속한 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낮고 다수문화를 우월하고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분리 : 고유문화를 유지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거부하는 유형입니다. 따라서 이 유형의 이주민은 모국문화의 전통과 가치를 유지하는 데만 집중하고 주류문화와는 분리하여 적응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는 유형입니다.

     주변화 : 고유문화와 주류문화 모두를 거부하는 유형입니다. 이런 특성을 보이는 이주민은 자신의 고유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관심이 없을 뿐만 아니라 주류문화와 접촉과 적응에 대해서도 배타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